java 7

전략 패턴(Strategy Pattern)

Strategy Pattern이란? 교환이 가능한 객체를 정의하고, 런타임에 설정하고 변환하는 패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여러 알고리즘을 클래스별로 캡슐화하고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는 설계로, 이를 런타임에 수행할 수 있게 하려는 패턴이다. 예시 그림과 예시 그림에 있는 용어들에 대해서 정리하고 가자. Strategy 인터페이스나 추상 클래스로 외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알고리즘을 호출하는 방법을 명시 ConcreteStrategyA, B, C 앞서 설계한 추상 클래스 혹은 인터페이스를 필요 기능에 따라 실제 구현한 클래스 Context 전략 패턴을 이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서, 동적으로 구체적인 전략을 바꿀 수 있는 setter를 제공한다. 사용하는 쪽에서는 Strategy만 바꿔주면 코..

템플릿 메서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

템플릿 메서드 패턴(Template Method Pattern) 슈퍼 클래스에서는 알고리즘의 구조를 정의한다. 서브 클래스에서는, 슈퍼 클래스가 정의한 구조는 변경하지 않고 그 내용만 오버라이딩한다. 알고리즘이 동일하여 같은 역할을 하는 메서드들이 여러 벌 생성될 수 있지만, 세부 구현은 다른 형태로(DB만 다르거나, 주고 받는 내용만 다르거나...) 이루어진 경우에 유용하다. 대부분 어떤 것을 만드는 클래스들로(XXXMaker, XXXBuilder) 구현하면서 예시를 드는데, 샌드위치 메이커라는 컨셉으로 한 번 구현해봤다. 샌드위치는 안에 들어가는 재료가 저마다 다르고, 빵의 끝을 잘라낼 수도 있고, 먹기 편하게 아예 반으로 자를 수도 있고 다양한 형태로 조리될 수 있다. 만드는 과정이나 재료는 여러모..

Java의 Stream에서 parallelStream은 stream보다 항상 빠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당연히 아니다. 병렬 처리라는 것이 단순히 작업을 쪼개서 수행하는 것에 그치는 게 아니라, 그것을 취합하는 과정도 있고 그 쪼개면서 발생하는 오버헤드, 컨텍스트 스위칭 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ParallelStream Java8부터는 parallelStream(), parallel()만을 사용하고도 stream을 병렬 처리할 수 있게 한다. ForkJoinPool 관리 방식을 사용해서 복잡하던 스레드 관리 방식을 Fork와 Join을 통해서 작업들을 분할 정복(Divide and Conquer) 기법으로 처리한다. ParallelStream을 사용할 때 몇 가지 특징에 대해 알고 넘어가는 것이 좋다. 병렬 처리이기 때문에,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 별도의 설정이 없으면 해당 어..

Java의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에 대해 알아보기

함수형 인터페이스(Functional Interface)?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 존재하는 인터페이스 람다 표현식에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인터페이스 범위가 확장됨에 따라 여러 메서드가 정의되어 있을 수 있지만, 오직 하나의 추상 메서드만 존재한다면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다. 기본 형태 @FunctionalInterface public interface Consumer { void accept(T var1); default Consumer andThen(Consumer

JAVA에서 람다식(Lambda Expression)에 대해 정리해보기

람다식? 람다식 또는 람다 표현식(Lambda Expression)은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사용되는 개념으로 익명 함수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람다식을 볼 수 있으며 Java에서는 이 람다 표현식을 Java8부터 추가되어 활용할 수 있다. 특징 기본 형태 (int param1, String param2) -> { DoSomething...} // 기본 (Parameter, ...) -> { DoSomething... } // 타입이 동일한 경우 () -> { DoSomething... } // 매개변수가 없는 경우 (Parameter, ...) -> DoSomething // 단일 실행문인 경우 (Parameter, ...) -> { return some; } // 단일 실행문이 ..

자바(Java)에서의 싱글톤(Singleton)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Singleton이 무엇인가? Singleton은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 번만 메모리에 할당하고(Static) 그 메모리에 대해서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생성자 호출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생성된 인스턴스를 반환해주는 것을 말한다. Singleton을 왜 사용하는가?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얻으며 생성된 인스턴스를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인스턴스는 전역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기가 쉽다고 한다. DBCP(DataBase Connection Pool) 같이 공통된 객체를 여럿 생성해 사용해야할 때 많이 사용한다. Singleton 사용 시 조심해야 되는 부분 ..

자바(Java)와 메모리(Static, Stack, Heap)에 대한 정리

코드를 조금 더 실용적으로 작성하기 위해선 JVM의 메모리 영역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모든 것을 다 Heap이나 Stack에 밀어 넣고 인스턴스 생성과 Thread Safe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 등의 행위는 적절하지 않기 때문이다. 메모리 영역에 대한 이해와 그를 바탕으로 한 코드 설계는 개발자가 더 나은 코드를, 그로 인해 더 나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세부적으로 따지면 코드 영역 같은 것도 있고 하지만, 크게 이렇게 다루고 신경써줘야 하는 부분은 static, stack, heap이다. 각 영역마다 특징적인 것들이 있고, 그렇다 보니 그 특징들을 고려해서 코드를 작성해야 인스턴스의 불필요한 생성을 방지하고, Thread Safe를 보장할 수 있으니 잘 짚고 넘어가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