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스 11

자바(Java)에서의 싱글톤(Singleton) 패턴에 대해 알아보자

Singleton이 무엇인가? Singleton은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 번만 메모리에 할당하고(Static) 그 메모리에 대해서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는 디자인 패턴이다. 생성자 호출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고 하더라도,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생성된 인스턴스를 반환해주는 것을 말한다. Singleton을 왜 사용하는가? 고정된 메모리 영역을 얻으며 생성된 인스턴스를 계속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생성된 인스턴스는 전역 인스턴스이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이 데이터를 공유하기가 쉽다고 한다. DBCP(DataBase Connection Pool) 같이 공통된 객체를 여럿 생성해 사용해야할 때 많이 사용한다. Singleton 사용 시 조심해야 되는 부분 ..

C++에서 구조체와 클래스 차이

최근까지 흔한 커리큘럼이 C를 배우고 C++로 넘어가는 과정이었다. 두 언어를 완전히 다르게 보는 시각에서 접근해서인지는 몰라도, C++에서 구조체와 클래스의 차이를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여럿 있는 듯 하다. 특히 C에서의 struct를 가지고 와서 C++의 struct와 동일시하면서, C++에서는 struct는 무조건 금기시 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류해 무조건 class를 쓰는 게 옳다고 생각하는 오개념을 가진 사람들도 있었다. C++에서의 struct와 class의 차이를 C의 struct와 C++의 class로 잘못 비교하고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한 채로 개념이 굳어져 가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다. C++을 대하는 태도와 관심 정도에 따라 이럴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를 혼동한다고 해서 큰..

C, C++] 헤더파일과, CPP파일로 소스 코드 분리

대학교 학부과정에서 C, C++을 배우는 상황에서는 소스코드를 헤더파일과 CPP(혹은 C, 여기서는 CPP파일로 통칭하겠다.)파일로 분할해서 활용하는 일이 거의 없다. 컴퓨터 사고를 키우는 것과 프로그래밍의 기초에 집중하는 부분도 고려하기 때문인 것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코드를 분할해서 관리할 정도로 코드가 길거나, 재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인 것이 가장 크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쓰면서 헤더파일과 CPP파일 분리를 논하고 있는 본인조차도 학부시절 자료구조 강의를 들을 때가 되어서(아마 연결리스트를 응용하는 함수였던 걸로 기억한다.) 자주 접한 편이었다. 그렇게 강제하거나 따로 배운 건 아니고, 손 하나 대지도 않을 코드를 복사 붙여넣기 해서 괜히 스크롤을 내려야 하는 번거로움에 대한 반항심과 다른 학생들..

C++] 일반화와 템플릿

template 키워드를 사용하면 중복함수들을 일반화시킨 특별한 함수 생성이 가능하다.이를 템플릿함수(template function) 혹은 제네릭함수(generic function)라고 한다.C++에서의 템플릿은 함수와 클래스 코드를 일반화시키는 도구 템플릿 함수나 클래스를 작성할 경우,template이란 키워드를 사용하여 로 제네릭 타입 T를 선언한다. 중복함수를 템플릿화하는 과정의 역과정을 구체화라 하며,컴파일러는 함수의 호출문을 컴파일하는 경우 구체화를 통해구체적인 함수의 소스코드를 생성해내며, 이를 구체화된 함수라 한다.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Circle { int radius; public: Circle(int radius = 1) { this->ra..

Data Structure] 스택 클래스를 일반화한 제네릭 클래스

템플릿 이용해서 스택을 일반화해봤다. 클래스 활용도 연습을 해볼 겸, 템플릿 사용도 연습을 해볼 겸...다른 기능 없이 아주 일반적인 push, pop, 생성자만 구현했다.다음엔 리스트도 해볼 생각. #include using namespace std; template class Stack { int tos; T data[100]; public: Stack(); void push(T element); T pop(); }; template Stack::Stack() { tos = -1; } template void Stack::push(T element) { if (tos == 99) { cout

C++] 다중상속(Multiple Inheritance)

Multiple Inheritance;다중상속 하나의 파생 클래스가 여러 클래스를 동시에 상속 받는 경우를 말하며,그 효용성에 비해 반대급부가 커서 사용하지 않는 편이며,C#, Java에서는 지원하지 않음. 여러 클래스를 상속받아 재사용과 효율을 높일 수 있겠지만,치명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음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25262728293031#include using namespace std;class BaseIO{public: int mode;};class In : public BaseIO{public: int readPos;};class Out : public BaseIO{public: int writePos;};class InOut : public In,..

C++] RTTI(Run-Time Type Information)

RTTI(Run-Time Type Information)실행 중 객체의 타입과 관련된 정보를 알아내는 기법실행 중 포인터가 가리키는 객체의 실제 타입을 알아야 하는 경우,클래스가 상속 관계에 있을 때 포인터가 가리키는 객체가 파생클래스의 객체인지기본클래스의 객체인지 판단해야 하는 경우, RTTI 기법을 이용해 알아낼 수 있다.RTTI 활용을 위해서는 typeinfo 헤더를 포함시켜야 함. type_info 클래스는 typeid 연산자에 의해 반환되는 정보로,타입 이름과 같은 타입에 관한 정보를 가진 클래스임 123456789class type_info{public: bool operator==(const type_info& rhs); bool operator!=(const type_info& rhs); ..

DataStructure] C++ 연결 리스트(Single Linked List)

2학년 1학기(벌써 작년이다)에 필자는 C언어로 자료구조론을 배운 적이 있다.당시에는 C언어로 모든 것을 작성했었다.자료구조도 복습하고, C++ 연습하는 겸,C++로 자료구조들을 구현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오늘은 그 첫번째 시도로 단일 연결 리스트(혹은 단순 연결 리스트;Single Linked List)를 만들어봤다. head, tail, 중간 삽입이 모두 가능하고,삭제하는 건 head에서만 이뤄지도록 했다.그냥 구현에 초점을 둬서 완벽한 예외처리나, template을 활용하거나 하지는 않았지만,근시일내에 그런 걸 다 집어넣고 다시 한 번 짤 생각이다. (왜 remove만 핫핑크로 하이라이팅되는 거지?...) #include using namespace std; class Node { friend cl..